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코딩
- Spring
- 생성자
- mavenCentral
- 멀티쓰레드
- jcenter
- Oracle
- 템플릿엔진
- 카카오코딩테스트
- socket
- 사용자관리프로그램
- 상속
- HTML모드
- SwingCalendar
- 인스턴스
- 자바
- springboot
- 백준
- 바인드변수
- 메소드
- 컬렉션프레임워크
- springDataJPA
- 서버
- JavaScript
- 클라이언트
- JPA Auditing
- 클래스
- 깃허브
- java
- Swing
- Today
- Total
프리 정보 컨텐츠
Get 과 Post 방식 설명과 차이점 본문
GET
HTTP 메소드 중 자주 사용하는 GET과 POST의 작동 방식과 차이점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GET은 클라이언트에서 서버로 데이터를 전달할 때, 필요한 데이터를 Body에 담지 않고, 쿼리스트링을 통해 전송한다.
(쿼리스트링 - URL 끝에 ?와 함께 "이름"과 "값"으로 쌍을 이루는 요청 피라미터)
쿼리스트링을 사용하면 URL에 조회 조건을 표시하므로 특정 페이지를 링크하거나 북마크 할 수 있다.
www.example-url.com/resources?name1=value1&name2=value2
요청 피라미터명 name1, name2이며, 각각의 피라미터는 value1, value2 값으로 서버에 요청을 보낸다.
전달되는 데이터가 255개의 문자를 초과하면 길이에 제한이 있어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주소창에 쿼리스트링이 그대로 노출되어있으므로 보안성이 POST에 비해서 떨어진다.
POST
POST는 GET과 달리 전송해야 하는 데이터를 쿼리스트링이 아닌 HTTP 메세지의 Body에 담아서 전송한다. 그래서 POST 방식은 길이에 제한 없이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속도는 GET 방식에 비해서 느리다. POST는 데이터가 직접적으로 보이지 않아 안전하다고 생각할 수 있지만, 개발자 도구 내에서 노출되므로 암호화 전송해야 한다.
그리고 POST로 요청을 보낼 때는 요청 헤더의 Content-Type에 요청 데이터 타입을 표시해야 한다. 데이터 타입을 표시하지 않으면 서버는 내용이나 URL에 포함된 리소스의 확장자명 등으로 데이터 타입을 유추하며, 알 수 없는 경우에는 application/octet-stream 로 요청을 처리한다.
GET과 POST 차이점
GET은 서버에게 동일한 요청을 여러 번 전송하면 동일한 응답이 돌아오는 반면에 POST의 응답은 항상 다를 수 있다.
따라서 POST는 서버의 상태나 데이터를 변경시킬 때 주로 사용된다. 게시글을 쓰면 서버에 게시글이 저장되고, 게시글을 삭제하면 데이터가 없어지는 등 서버는 변경되도록 사용된다.
POST는 여러 방면으로 사용이 가능하지만, 생성은 POST, 수정은 PUT, 삭제는 DELETE 용도에 적합한 기능이 있기에 상황에 맞게 용도에 맞추어서 사용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