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221 2017 카카오 신입 공채 1차 코딩 테스트 다트게임 풀이 및 해설 2. 다트 게임(난이도: 하) 카카오톡 게임별의 하반기 신규 서비스로 다트 게임을 출시하기로 했다. 다트 게임은 다트판에 다트를 세 차례 던져 그 점수의 합계로 실력을 겨루는 게임으로, 모두가 간단히 즐길 수 있다. 갓 입사한 무지는 코딩 실력을 인정받아 게임의 핵심 부분인 점수 계산 로직을 맡게 되었다. 다트 게임의 점수 계산 로직은 아래와 같다. 다트 게임은 총 3번의 기회로 구성된다. 각 기회마다 얻을 수 있는 점수는 0점에서 10점까지이다. 점수와 함께 Single(S), Double(D), Triple(T) 영역이 존재하고 각 영역 당첨 시 점수에서 1제곱, 2제곱, 3제곱 (점수^1 , 점수^2 , 점수^3 )으로 계산된다. 옵션으로 스타상(*) , 아차상(#)이 존재하며 스타상(*) 당첨 시.. 2020. 12. 27. 자바 메소드, 클래스, 인스턴스, 개념 총정리 메소드 자바에서 클래스는 멤버로 속성을 표현하는 필드와 기능을 표현하는 메소드를 가진다. 메소드는 어떠한 특정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문의 집합이다. 사용하는 이유? 중복되는 코드의 반복적인 프로그래밍을 줄일 수가 있기 때문이다. 모듈화로 인해 코드의 가독성이 좋아진다. 버그 발생 시에 유지보수를 쉽게 할 수있다. public class OutputMethod { public static String a() { //return 할 값이 문자열이므로 String return "a"; // a라는 메소드는 return 뒤에 있는값이 반환된다. } public static int one() { // method 의 return 값 뒤에있는 값이 실행결과가 된다. return 1; } public static.. 2020. 12. 27. 자바 별 찍기 예제 for 문을 활용한 자바 별 찍기 예제 문제 public class Test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for(int i=1; i 2020. 12. 26. 2017 카카오 신입 공채 1차 코딩 테스트 비밀지도 풀이 및 해설 //문제풀이 및 코드는 아래에 있습니다. 1. 비밀 지도(난이도: 하) 네오는 평소 프로도가 비상금을 숨겨놓는 장소를 알려줄 비밀지도를 손에 넣었다. 그런데 이 비밀지도는 숫자로 암호화되어 있어 위치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암호를 해독해야 한다. 다행히 지도 암호를 해독할 방법을 적어놓은 메모도 함께 발견했다. 지도는 한 변의 길이가 n인 정사각형 배열 형태로, 각 칸은 “공백”(“ “) 또는 “벽”(“#”) 두 종류로 이루어져 있다. 전체 지도는 두 장의 지도를 겹쳐서 얻을 수 있다. 각각 “지도 1”과 “지도 2”라고 하자. 지도 1 또는 지도 2 중 어느 하나라도 벽인 부분은 전체 지도에서도 벽이다. 지도 1과 지도 2에서 모두 공백인 부분은 전체 지도에서도 공백이다. “지도 1”과 “지도 2”는 각각.. 2020. 12. 25. Overloading 과 Overriding 오버로딩과 오버라이딩 차이점 오버 로딩(Overloading) , 오버 라이딩(Overriding) 비슷한 용어로 보이는 오버 로딩과 오버 라이딩은 비슷하지만 다른 점이 있다. 자주 헷갈릴 수 있으니 정확히 이해하고 넘어가자! 오버로딩(Overloading) 하나의 클래스에 같은 이름의 메소드들을 여러 가지 형태로 정의 매개변수의 유형과 개수를 다르게 지정하여 사용 코드를 예시로 오버로딩을 알아보자 public class Overloadingtest { // test() 호출 void test(){ System.out.println("매개변수 X"); } // test에 매개변수 int형 2개 호출 void test(int a, int b){ System.out.println("매개변수 "+ a + "와 " + b); } // te.. 2020. 12. 25. HTTP 작동 방식과 cookie, proxy 정의 HTTP (HyperText Transfer Protocol) 요약 브라우저 -> 웹서버 리소스 요청(Request) 서버 -> 웹브라우저 응답(Resopnse) 브라우저 서버 사이의 규약 -> HTTP 데이터를 웹서버로부터 가져올 때 쓰는 것이 GET 방식이다. HTTP 1.1 =웹 브라우저가 현재 사용할 수 있는 HTTP 의 버전. 버전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웹 브라우저에게 통신한다. status = http version 출력 status code 응답 결과 phrase 응답 결과에 대한 요약정보 제공 status code (응답 상태코드) 리소스 요청에 대한 응답은 응답 상태 코드로 설명할 수 있다. 200 - 요청을 정상 수행 201 - 리소스 생성 요청 성공(Post로 생성 요청 시에 한함).. 2020. 12. 25. 이전 1 ··· 32 33 34 35 36 3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