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컬렉션프레임워크
- springboot
- 서버
- 카카오코딩테스트
- 생성자
- 백준
- 상속
- db버퍼캐시
- 메소드
- 깃허브
- 인덱스 튜닝
- 클래스
- Undo
- Swing
- Oracle
- 클라이언트
- 인덱스
- DB
- DBA
- 인스턴스
- 멀티쓰레드
- 오라클
- SQL
- SQLP
- socket
- Spring
- 자바
- java
- 친절한 SQL 튜닝
- 친절한 sql튜닝
- Today
- Total
목록전체 글 (89)
프리 정보 컨텐츠

oracle내에서 바인드 변수를 활용하여 입력한 년월의 달력을 표시해준다. 1입력시 짝수 달력, 0입력시 홀수 달력, null을 입력할시에 전체 달력의 월을 표시해주는 달력 실습 select max(DECODE(DID, 1, YMD)) month, min(DECODE(WID, 1, DID)) SUN, min(DECODE(WID, 2, DID)) MON, min(DECODE(WID, 3, DID)) TUE, min(DECODE(WID, 4, DID)) WED, min(DECODE(WID, 5, DID)) THR, min(DECODE(WID, 6, DID)) FRI, min(DECODE(WID, 7, DID)) SAT from ( select to_char(T1, 'YYYY-MM') YMD, extract(..

select ABS(-2) c1, floor(2.3) c2, power(2, 3) c3, sign(1) c4, sign(-1) c5, sqrt(25) c6, trunc(10.232, 1) c7, ADD_MONTHS(to_date('20211104', 'yyyymmdd'), 3) c8, extract(year from sysdate) c9, extract(month from sysdate) c10, extract(day from sysdate) c11, NEXT_DAY('20211224', 4) c12, sysdate c13, trunc(sysdate) c14, last_day(sysdate) c15 from dual;

connect by level과 rownum을 활용한 간단한 예제를 알아보자. oracle에서 connect by level을 사용하면 원하는만큼의 행을 리턴할 수 있어서 주로 날짜를 가져올 때 유용하게 사용한다. select rownum, level as no from dual connect by level

js 프로젝트를 수행하며 기존에 얕은 지식으로 알고 있었던 Promise 객체 에 대하여 정리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사용 방법과 작동 방식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Promise Promise는 비동기 연산이 종료된 이후의 결과값이나 실패 이유를 처리하기 위한 처리기를 연결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즉, 프로미스를 사용하면 비동기 메서드에서도 동기 메서드처럼 값을 반환해주기 때문에 실무에서도 종종 사용합니다. 주로 서버에서 받아온 데이터를 화면에 표시할 때 사용되는 것 입니다. JS로 코딩을 하다보면 콜백지옥이 많이 발생하는데 Promise를 통해 콜백 함수를 연결하면 프로세스를 좀 더 유연하게 표현 할 수 있는 큰 장점이 있습니다. loadItems() .then((items) => { disp..

spring annotation 에는 많은 종류가 있어 사용하는데 헷갈림이 많았습니다. 이번 기회에 정리하면서 각 어노테이션이 무슨 역할을 하고 어떻게 사용하는지를 정리하고자 합니다. @Component안에는 @Controller, @Service, @Repository 세 가지 어노테이션으로 구분되어집니다. @Component를 사용해도되지만 각각의 어노테이션이 하는 역할을 정해줌으로써 좀 더 세밀하게 구분지어줍니다. Spring MVC 의 구조를 통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사용자 입출력을 담당하는 컨트롤러(C), 사용자에 요구사항에 맞는 요구사항을 역할하는 Service, 데이터를 제공받는 Repository(Dao) 로 나누어집니다. 자바 코드를 작성할 때 소스 코드를 보고있는 Controller, S..
@Autowired를 사용하기 전에 어노테이션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는 어떠한 상황이며 왜 어노테이션을 사용해야하는지에 대한 의문이 생겨서 정리하고자 합니다. 위의 예제는 어노테이션을 사용하지않고 XML로 설정할 때의 객체 설정 방법입니다. B2를 사용하다가 업데이트 할 경우 B3로 대체해주어야 하는 경우를 예로 들겠습니다. 새로운 객체를 B3로 바꾸어줄경우에 class에 있는 코드를 data B3로 수정해주어야 합니다. 이런 귀찮음(?)을 해결해주기위해 객체를 바꾸었을 때 설정도 같이 바꾸도록 하기 위해 어노테이션을 사용합니다. 스프링에서 코드를 읽을 수 있도록 메타 데이터인 @Component 를 붙여 이를 객체화합니다. 설정파일 없이 코드내에서 어노테이션을 사용함으로써 객체를 바꾸어주는 간편함이 어노..
단위테스트 코드를 작성하던중 Junit4에서 사용하는 @RunWith(SpringRunner.class)라는 어노테이션을 지속적으로 사용해주었는데 몇 가지 의문점이 생겨서 정리하고자 합니다. 의문점은 아래와 같습니다. @SpringBootTest가 아닌 @RunWith(SpringRunner.class)를 사용하는 이유?? @RunWith와 더불어 @RunWith(SpringRunner.class) -> 정확히 무슨 역할을 하는지?? 대답은 아래와 같습니다. 1. @SpringBootTest를 사용하면 application context를 전부 로딩해서 자칫 잘못하면 무거운 프로젝트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Junit4에서 지원하는 @RunWith(SpringRunner.class)를 사용한..
이동욱 저자님의 스프링 부트와 AWS로 혼자 구현하는 웹 서비스를 따라하며 SpringBoot의 어노테이션을 정리하고자 합니다. Application 은 프로젝트의 메인 클래스로서 SpringApplication.run으로 인해 내장 WAS(Web Application Server)를 실행합니다. 내장 WAS란 별도로 외부에 WAS를 두지않고 내부에서 WAS를 실행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렇게 하면 항상 서버에 톰캣을 설치할 필요가 없게 되고, 스프링 부트로 만들어진 jar 파일로 실행하면 됩니다. @SpringBootApplication이 하는 기능에 대해서 자세하게 알아보겠습니다. package com.son.admin; import org.springframework.boot.SpringApplica..